2025년 3월 10일-14일 대한민국 증시 동향 보고서
1. 요약
2025년 3월 10일부터 14일까지의 대한민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며, 다양한 국내외 요인에 따라 등락을 거듭했습니다. 주 초반에는 국제 유가 변동, 미-중 무역 관계 긴장감, 국내 기업 실적 발표 등의 영향으로 변동성이 큰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주 후반으로 갈수록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정책 방향, 국내 경제 지표 발표 등에 대한 관망세가 나타나며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특정 섹터의 강세와 약세가 두드러지는 순환매 장세가 나타났으며, 투자자들은 대외 변수와 개별 종목의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 일별 시장 분석 (2025년 3월 10일 - 2025년 3월 14일)
2.1. 2025년 3월 10일 (월요일)
-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및 지수 변동: 3월 10일 한국 증시는 대형주와 중소형주의 흐름이 엇갈리면서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 코스피는 0.27% 상승한 2,570포인트로, 코스닥은 0.26% 하락한 725포인트로 장을 마쳤습니다 . 일부에서는 코스피가 1.28%, 코스닥이 0.6% 하락했다는 상반된 보고도 있었습니다 .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의 경제 낙관론에 힘입어 시장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뚜렷한 매수 주체가 없어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 한편, 3월 3일은 삼일절 대체공휴일로 휴장이었으며, 3월 10일은 정상적인 거래일이었습니다 .
대한 민국 주식 시장 혼조 -
- 상승한 섹터: 유가 하락으로 정유사의 복합 마진이 상승하면서 정유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 중국의 경기 부양 기대감과 러시아 주요 정유 시설의 손상 소식 또한 정유주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SK이노베이션은 6.02%, S-Oil은 8.74% 상승했습니다 . 1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는 소식에 2차 전지 관련주도 상승했으며 ,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금융주도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 그 외 바이오, 게임, 소프트웨어 주도 상승했습니다 . 미국-우크라이나 고위급 회담 예정으로 휴전 및 유럽 방위비 증액 기대감이 작용하며 방산주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
- 하락한 섹터: JYP 엔터테인먼트의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엔터주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 중국의 부진한 물가 지표 발표에 화학, 철강, 화장품주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 특히, 미국이 3월 12일부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철강주가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 2월 중국 소비 지표가 정부의 내수 진작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진하게 발표된 점도 엔터 및 화장품주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조선주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현대제철은 6.91%, POSCO홀딩스는 2.05% 하락하는 등 철강주의 하락폭이 두드러졌습니다 .
-
- 대장주 및 하락폭이 컸던 종목: 상승 섹터에서는 S-Oil이 8.74% 상승하며 정유주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하락 섹터에서는 현대제철이 6.91% 하락하며 철강주 중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 JYP 엔터테인먼트 또한 7.82% 하락하며 엔터주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 JYP 엔터테인먼트의 경우 특별한 악재 없이 IR 활동 부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
-



2.2. 2025년 3월 11일 (화요일)
-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및 지수 변동: 3월 11일 한국 증시는 글로벌 증시 하락의 영향으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 코스피는 1.28% 하락한 2,537.60, 코스닥은 0.60% 하락한 721.50을 기록했습니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단기적인 경기 침체를 용인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인해 지난밤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결과입니다 . 특히 나스닥은 4.00% 급락하며 2022년 9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



시후랩 시후 허니밤비 세안바 천연 비누 보습 영양 세안 꿀 약산성 100g, 1개 : SIHOO LAB :시후랩
[SIHOO LAB :시후랩] 시작한 후에 달라진 일상, 시후랩 : SIHOO LAB
smartstore.naver.com
-
- 상승한 섹터: 전반적인 시장 하락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업종은 수출 데이터 호조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3월 1일부터 10일까지 화장품 수출 금액이 전년 대비 14.6% 증가한 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로봇주 또한 현대차그룹 산하 기업 및 중국 전기차 기업 등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및 투자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반적인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
-
- 하락한 섹터: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미국 증시 급락의 영향으로 국내 증시 전 업종이 하락했습니다 . 특히 주도 업종이었던 산업재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었습니다 . 테슬라가 주요국 판매량 급감 등으로 15%대 급락하면서 국내 2차 전지주도 약세를 보였습니다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장중 2~3%대 하락했으나 장 후반 낙폭을 회복하여 보합권까지 올라왔습니다 .
-
AI 멍거 - 대장주 및 하락폭이 컸던 종목: 상승 섹터에서는 뚜렷한 대장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화장품 및 로봇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하락 섹터에서는 테슬라의 급락으로 인해 엘앤에프 등 2차 전지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산업재 섹터 역시 전반적인 약세를 보였으며, 구체적인 하락폭이 큰 종목은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
시후랩 시후 허니밤비 세안바 천연 비누 보습 영양 세안 꿀 약산성 100g, 1개 : SIHOO LAB :시후랩
[SIHOO LAB :시후랩] 시작한 후에 달라진 일상, 시후랩 : SIHOO LAB
smartstore.naver.com
2.3. 2025년 3월 12일 (수요일)
-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및 지수 변동: 3월 12일 한국 증시는 상승 전환하며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코스피는 1.48% 상승한 2,574.82, 코스닥은 1.22% 상승한 729.49를 기록하며 대형주와 중소형주가 동반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 중국의 경기 부양 정책(이구환신 정책) 및 지속적인 AI 모멘텀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와 가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반도체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전날 미국과 캐나다 간 관세 보복 조치가 완화되면서 무역 전쟁에 대한 긴장감이 일부 해소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 상승한 섹터: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으로 반도체주가 강하게 상승했습니다 . 특히 낸드플래시 가격 인상 전망이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을 더욱 고조시켰습니다 . 온디바이스 AI 테마와 CXL(Compute Express Link) 테마도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각각 5.7%, 4.9% 상승했습니다 .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정대로 시행되었으나, 한국이 적용받던 수출 물량 쿼터가 없어지면서 일부 광산업체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 우주항공과 국방 섹터는 4.56%, 전기 장비 섹터는 3.41% 상승하는 등 일부 섹터에서 두드러진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
-
주식으로 성공 - 하락한 섹터: 통신 및 엔터테인먼트 주가 하락했습니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2% 하락했습니다 .
-
- 대장주 및 하락폭이 컸던 종목: 상승 섹터에서는 SK하이닉스가 5.91%, 삼성전자가 2.43% 상승하며 반도체주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 온디바이스 AI 관련주 중에서는 KCS가 13.7% 급등했습니다 . CXL 관련주 역시 강세를 보였습니다. 하락 섹터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92% 하락하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
-
2.4. 2025년 3월 13일 (목요일)
-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및 지수 변동: 3월 13일 국내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 지난밤 미국의 물가 지표 둔화 영향으로 상승 출발했으나, 오후 들어 미국 상원에서 임시 예산안 처리가 불투명해지면서 정부 셧다운 우려가 높아져 상승분을 반납했습니다 .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쿼드러플 위칭데이)이었던 점도 장 후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코스피는 0.05% 하락한 2,573.64, 코스닥은 0.92% 하락한 722.80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
-
- 상승한 섹터: LS, 현대건설, HD현대중공업 등이 상승했습니다 .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6.32%, HD현대중공업은 4.73%, 한화오션은 3.52% 상승하는 등 조선 및 방산주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
-
투자의 도움 - 하락한 섹터: 반도체주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했습니다 . 2차 전지, 소프트웨어, 건설주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고려아연, LG이노텍, 삼성SDI 등이 하락했습니다 .
-
- 대장주 및 하락폭이 컸던 종목: 상승 섹터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6.32% 상승하며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하락 섹터에서는 고려아연, LG이노텍, 삼성SDI 등의 하락폭이 컸습니다 . 특히 삼성SDI는 6.08% 하락했습니다 .
-
시후랩 시후 허니밤비 세안바 천연 비누 보습 영양 세안 꿀 약산성 100g, 1개 : SIHOO LAB :시후랩
[SIHOO LAB :시후랩] 시작한 후에 달라진 일상, 시후랩 : SIHOO LAB
smartstore.naver.com
2.5. 2025년 3월 14일 (금요일)
-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및 지수 변동: 3월 14일 코스피는 0.05% 하락한 2573.64, 코스닥은 0.92% 하락한 722.80으로 마감했습니다 . 전반적으로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 상승한 섹터: 뚜렷한 상승 섹터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전날 강세를 보였던 우주항공과 국방, 전기 장비 섹터의 흐름이 이어졌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
-
- 하락한 섹터: 뚜렷한 하락 섹터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전날 하락했던 삼성SDI의 약세가 이어졌을 수 있습니다 .
-
- 대장주 및 하락폭이 컸던 종목: 뚜렷한 대장주나 하락폭이 컸던 종목은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3. 주간 섹터별 성과 요약 (2025년 3월 10일 - 2025년 3월 14일)
섹터 | 주간 성과 | 주요 상승 요인 | 종목 |
정유 | 상승 | 유가 하락에 따른 복합 마진 상승,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 러시아 정유 시설 손상 | S-Oil (+8.74%) |
방산 | 상승 | 미-우크라이나 고위급 회담 기대감, 유럽 방위비 증액 기대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6.32%) |
화장품 | 상승 | 3월 초 수출 데이터 호조 | 전반적으로 |
로봇 | 상승 | 현대차그룹 및 중국 전기차 기업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투자 기대감 | 전반적으로 |
반도체 | 상승 후 하락 | 메모리 반도체 수요 및 가격 회복 기대감 (3/12), 차익 실현 매물 출회 (3/13) | SK하이닉스 (+5.91% on 3/12) |
섹터 | 주간 성과 | 주요 상승 요인 | 종목 |
철강 | 하락 |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부과 결정 | 현대제철 (-6.91% on 3/10) |
엔터 | 하락 | JYP 엔터테인먼트 실적 부진, 중국 소비 부진 | JYP 엔터테인먼트 (-7.82% on 3/10) |
2차 전지 | 하락 | 테슬라 주가 급락, 미국 경기 침체 우려 | 엘앤에프 (큰 폭 하락 on 3/11), 삼성SDI (-6.08% on 3/13) |
4. 결론
2025년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대한민국 증시는 국제 유가, 미-중 관계, 국내외 경제 지표, 기업 실적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주 초반 정유 및 방산주의 강세, 철강 및 엔터주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주 중반에는 반도체주의 반등과 2차 전지주의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주 후반에는 미국발 정치적 불확실성과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의 영향으로 제한적인 움직임과 함께 일부 섹터별 차별화된 흐름이 관찰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경제 상황과 주요국의 정책 변화가 국내 증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와 중국 경제 상황은 국내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대외 변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개별 기업의 실적 및 성장 가능성에 대한 분석 또한 투자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의 매크로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관세 시작 예정일 모든 미국 주식 나스닥 S&P500 다우지수 형편 없이 폭락 중 (3) | 2025.04.02 |
---|---|
트럼프 관세 정책의 국내외 주식 시장 영향 분석 보고서 (7) | 2025.03.29 |
3월, 관세 리스크 재부상과 기술주 급락: 국내 증시 대응 전략 (3) | 2025.02.28 |
머스크가 만들 테슬라폰이 무서운 이유 (3) | 2025.02.13 |
미국 주식 피크아웃 우려와 한국 주식 상승 여력: 투자자들의 시각 변화와 기회 (1)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