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에 대한 견해

2025년 테슬라 증설 관련 투자 유망 종목 분석 : 삼성SDI 주목

반응형

2025년 테슬라 증설 관련 투자 유망 종목 분석 보고서

목차

  1. 서론: 테슬라의 성장과 2025년 사업 계획
  2. 테슬라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3. 테슬라 공급망 분석 및 관련 기업
    1. 테슬라 배터리 공급망
    2. 테슬라 전기차 부품 공급망
  4. 테슬라의 혁신적인 생산 전략
  5. 국내외 테슬라 관련 기업 분석
    1. 2차전지 관련 기업
      1. Panasonic
      2. CATL
      3. LG Energy Solution
      4. Samsung SDI
      5. SK On
      6. EVE Energy
    2. 전기차 관련 기업
      1. 현대자동차 그룹
      2. 기아
  6. 투자 유망 종목 선정 및 투자 전략
  7. 결론 및 향후 전망

1. 서론: 테슬라의 성장과 2025년 사업 계획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의 선두 주자로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운송을 추진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사업 확장 및 생산량 증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기존 모델의 가격 인하와 로보택시 판매, 그리고 3만 달러에서 3만 5천 달러 사이의 저가형 모델 출시와 함께 연간 50만 대의 추가 생산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저가형 모델 출시는 더욱 광범위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전기차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테슬라는 기존 공장의 생산 라인을 활용하여 차세대 플랫폼의 일부를 통합하고 배터리 비용을 30% 절감하여 생산 비용을 낮추고 판매량을 증가시키는 전략도 추진 중입니다. 배터리 비용 절감은 테슬라가 경쟁사에 비해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테슬라의 2025년 주요 사업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표설명
저가형 모델 출시 2025년에 3만 달러에서 3만 5천 달러 사이의 저가형 모델을 출시하여 시장 점유율 확대
생산량 증대 기존 공장의 생산 라인을 활용하여 2025년에 50만 대의 차량을 추가 생산
로보택시 출시 2025년 텍사스와 캘리포니아에서 텔레오퍼레이터의 지원을 받아 자율 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로보택시를 출시
세미 트럭 생산 네바다 공장에서 2025년 말부터 세미 트럭 생산 시작
풀 셀프 드라이빙 2025년까지 모델 3 및 모델 Y를 통해 완전 자율 주행 구현
승객 및 화물용 밴 출시 승객 및 화물 운송을 위한 밴 출시 계획 (예상)
 
 

로보택시 출시는 규제 장벽, 대중의 인식, 잠재적인 시장 붕괴 등의 과제와 기회를 동시에 제시합니다. 세미 트럭 시장 진출은 테슬라의 수익원을 다변화하고 상용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테슬라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테슬라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독일, 중국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공장의 위치와 생산 차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리몬트, 캘리포니아, 미국: 모델 S, 모델 3, 모델 X, 모델 Y  
     
  • 기가 네바다, 네바다, 미국: 배터리, 전기 모터, 파워월, 세미 트럭  
     
  • 기가 뉴욕, 뉴욕, 미국: 슈퍼차저, 솔라 루프  
     
  • 기가 상하이, 상하이, 중국: 모델 3, 모델 Y  
     
  • 기가 베를린, 그륀하이데, 독일: 모델 Y  
     
  • 기가 텍사스, 오스틴, 텍사스, 미국: 모델 Y, 사이버트럭  
     

주요 공장의 생산 능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리몬트 공장: 연간 50만 대 이상 생산 가능, 테슬라에서 가장 생산적인 공장  
     
  • 기가 텍사스: 연간 25만 대 이상의 모델 Y 생산, 최근 주간 4,000대 생산 달성  
     
  • 기가 상하이: 연간 100만 대 이상 생산 가능  
     

3. 테슬라 공급망 분석 및 관련 기업

3.1 테슬라 배터리 공급망

테슬라는 다양한 배터리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주요 공급업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 Panasonic: 오랜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NCA 양극재 배터리를 공급  
     
  • LG Energy Solution: NCMA 양극재 배터리를 공급  
     
  • CATL: 리튬 인산철 배터리(LFP)를 공급하며, 상하이 기가팩토리의 주요 배터리 공급업체  
     
  • BYD: FinDreams를 통해 상하이 기가팩토리에 배터리 셀을 공급  
     
  • Sunwoda: 테슬라의 배터리 공급업체 중 하나  
     
  • EVE Energy: 테슬라의 여섯 번째 배터리 공급업체로, 미국 시장에 배터리 셀을 공급  
     

테슬라는 배터리 원자재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광산 업체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 Ganfeng Lithium: 리튬 공급  
     
  • BHP: 니켈 공급  
     
  • Glencore: 코발트 공급  
     

3.2 테슬라 전기차 부품 공급망

테슬라 전기차 부품 공급업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Emerson Electric  
Garmin  
Danaher Corporation  
Nucor Corp  
Modine Manufacturing 배터리 냉각기
Rohm and Haas Company 특수 재료
Proto Labs  
Puradyn Filter Technologies  
Seachange International  
Sense Technologies  
Strattec Security Corp  
Supreme Industries  
Telkonet  
THT Heat Transfer Technology  
Titanium Metals Corp  
Thomas & Betts Corporation  
Trecora Resources  
UFP Technologies  
Universal Stainless & Alloy Products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Vystar Corp  
Zap  
Zoom Telephonics  
 
 

4. 테슬라의 혁신적인 생산 전략

테슬라는 "언박싱"이라는 새로운 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려고 합니다. 이 방식은 조립 라인 없이 자동화를 극대화하여 차량을 내부에서 외부로 조립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2025년 1월부터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업그레이드된 모델 Y의 생산을 늘릴 계획이며 상하이에 새로 건설된 메가팩토리는 2025년 1분기부터 가동을 시작하여 모델 Y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하이 기가팩토리는 부품의 95% 이상을 국내 공급업체에서 조달하는 현지화된 공급망 전략을 통해 운송 비용과 리드 타임을 단축하고 있으며 적시 생산 시스템을 통해 재고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테슬라는 향후 10년 안에 15초마다 차량 1대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베를린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도 상하이 기가팩토리의 생산 방식을 적용하여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모델 Y 주니퍼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할인 및 빠른 생산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니퍼 출시 전에 재고 회전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5. 국내외 테슬라 관련 기업 분석

5.1 2차전지 관련 기업

5.1.1 Panasonic

  • 재무 상태: 2024년 매출액은 8조 4,964억 엔, 영업이익은 3,610억 엔으로 전년 대비 각각 1%, 25%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4,440억 엔으로 67% 증가했습니다.  
     
  • 기술력: NCA 양극재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테슬라의 오랜 파트너로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새로운 테슬라 배터리 생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 성장 가능성: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테슬라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5.1.2 CATL

  • 재무 상태: 2023년 매출액은 4,009억 1,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2.01%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441억 위안으로 44% 증가했습니다. 해외 매출 비중은 32.67%로, 전년 대비 70.29% 증가했습니다.  
     
  • 기술력: 리튬 인산철 배터리(LFP) 기술력을 바탕으로 테슬라를 포함한 다양한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CTP(Cell to Pack), CTC(Cell to Chassis) 기술 등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 성장 가능성: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해외 시장 확장을 통해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1.3 LG Energy Solution

  • 재무 상태: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6조 8,778억 원, 영업이익은 4,48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에는 IRA 세액 공제 금액 4,660억 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제외하면 영업손실 17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 기술력: 라미네이션 & 스태킹(L&S) 공정, SRS®(Safety Reinforced Separator) 기술 등 안전성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기술을 통해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 성장 가능성: 2028년까지 매출 5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무음극 고체 배터리, 반고체 배터리, 저가형 황 및 나트륨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5.1.4 Samsung SDI

  • 재무 상태: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3조 9,400억 원, 영업이익은 1,29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0%, 영업이익은 72% 감소했습니다.  
     
  • 기술력: 고용량, 고에너지 밀도, 급속 충전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양산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생산 라인 'S-Line'을 완공했으며,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성장 가능성: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1.5 SK On

  • 재무 상태: 2024년 3분기 영업이익 240억 원을 기록하며 분사 이후 첫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4.9% 감소한 1조 4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 기술력: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성과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코발트 프리 배터리, S-Pack 기술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도 개발 중입니다.  
     
  • 성장 가능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5.1.6 EVE Energy

  • 재무 상태: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473억 400만 위안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487억 8,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86% 증가했습니다.  
     
  • 기술력: 소비자 배터리, 파워 배터리, 에너지 저장 배터리 분야의 핵심 기술과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세계 3위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 제조업체입니다.  
     
  • 성장 가능성: 배터리 에너지 밀도 향상, 시스템 기술 개선, 급속 충전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시장에서의 성장과 전기차 배터리 공급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5.2 전기차 관련 기업

5.2.1 현대자동차 그룹

  • 현대자동차: 국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아이오닉 시리즈를 중심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도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등의 성공적인 출시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기아: EV6, 니로 EV 등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6. 투자 유망 종목 선정 및 투자 전략

테슬라의 증설 계획과 2차전지 및 전기차 시장의 성장 전망, 그리고 정부 정책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투자 유망 종목을 선정했습니다.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성장은 정부의 규제와 인센티브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든 행정부의 배터리 소재 조달 관련 규제는 테슬라의 배터리 공급망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업분야선정 이유투자 전략

 

Panasonic 2차전지 테슬라의 오랜 파트너로서 안정적인 공급 관계 유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장기 투자
CATL 2차전지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 보유 성장주 투자
LG Energy Solution 2차전지 다양한 배터리 기술 포트폴리오, ESS 시장 성장 수혜 중장기 투자
Samsung SDI 2차전지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시장 공략, 전고체 배터리 기술 선도 기술주 투자
현대자동차 전기차 국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세 가치주 투자
 
 

투자 전략:

  • 테슬라 관련 기업의 성장성과 재무 건전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합니다.
  • 2차전지 및 전기차 시장의 변화와 정부 정책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7. 결론 및 향후 전망

테슬라의 증설 계획은 2차전지 및 전기차 관련 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테슬라와 직접적인 협력 관계를 맺고 있거나, 기술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Panasonic은 테슬라의 오랜 파트너로서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되며, CATL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 1위 기업으로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LG Energy Solution은 ESS 시장의 성장과 함께 중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되며, Samsung SDI는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대자동차는 국내 전기차 시장 лидер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존재하며, 2차전지 및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변동, 정부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전에 충분한 분석과 정보 습득이 필요하며, 분산 투자 등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