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가 미국 3대 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미국 의회는 2024년 회계연도 예산안 처리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민주당과 공화당이 예산안 내용을 놓고 대립하면서 임시 예산안마저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 3대 지수 하락
2024년 1월 18일 오전 6시 현재(KST), 미국 나스닥 종합주가지수(.IXIC)는 전일 대비 0.25% 하락한 15,217.50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날 15,252.25에서 하락한 수치입니다.
2024년 1월 18일 오전 6시 현재(KST), 미국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는 전일 대비 0.26% 하락한 34,747.6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날 34,819.26에서 하락한 수치입니다.
2024년 1월 18일 오전 6시 현재(KST), 미국 S&P500 지수(.SPX)는 전일 대비 0.24% 하락한 4,530.87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날 4,540.93에서 하락한 수치입니다.
미국정부 셧다운 위기 고조
미국 정부 셧다운이 현실화할 경우 연방정부의 업무가 중단되어 경제에 직간접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방정부의 공무원들이 일하지 못해 공공서비스가 차질을 빚고, 민간 기업들도 정부의 발주 감소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국 정부 셧다운이 현실화할 경우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위험자산을 회피하고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켰고, 이는 미국 3대 지수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가속화
물론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미국 3대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우려, 중국의 경기 침체 우려 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는 미국 3대 지수 하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미국의 물가가 자꾸 오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공급 측면**의 요인, 다른 하나는 **수요 측면**의 요인입니다.
**공급 측면**의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및 식료품 가격 상승**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차질**
*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이는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미국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쟁으로 인한 식량 수급 불안으로 식료품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인해 원자재, 부품, 완제품 등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조업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도 물가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실업률은 3.9%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수요 측면**의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 회복**
*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완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 회복**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완화**로 인해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가 상승 요인이 복합적이며, 단기간에 물가를 안정화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경기침체 우려
중국의 경기가 완전히 침체될 가능성은 낮지만, 경기 둔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경기 침체 우려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커지고 있습니다.
* **부동산 시장 침체**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중국 경제의 30%를 차지하는 핵심 부문입니다. 그러나 2021년부터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졌습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는 건설업, 금융업, 소비 등 다양한 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제로 코로나 정책의 지속**
중국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도시 봉쇄, 여행 제한 등이 이어지면서 경기 활동이 위축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금리 인상**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중국의 자본 유출과 경기 둔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경기 침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재정 및 통화 정책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 침체와 제로 코로나 정책의 지속으로 인해 경기 둔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5.5%로, 이는 중국 정부의 목표치입니다. 그러나 제로 코로나 정책의 지속과 미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실제 성장률은 목표치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의 경기가 완전히 침체되지는 않겠지만, 경기 둔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금일 한국 지수도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금화한 자산은 홀딩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금에 투자하라는 격언이 떠오릅니다.
한동안 하락에 적응해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의 매크로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주식 시황]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애플의 투자 등급을 상향 하면서 나스닥 S&P 그리고 DOW 지수 상승, 특히 반도체 (2) | 2024.01.19 |
---|---|
[세제 혜택] 반드시 있어야 하는 ISA통장 (1) | 2024.01.18 |
[오늘 주식 시황] 코스피 코스닥 폭락 개별주의 경우 10% 이상 급락 (59) | 2024.01.17 |
[오늘 주식 시황] 미국 3대 지수 일제히 하락 그러나 엔비디아 테슬라는 상승 (4) | 2024.01.17 |
[오늘 주식 시황] 중국 경기 불안감으로 코스피 코스닥 모두 하락 그래도 AI 인공지능 관련주 로봇주 날다 (3) | 2024.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