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의 매크로 환경

공화당의 하원 장악과 바이든 탄핵 가능성 그리고 주식시장

반응형

공화당이 중간 선거를 통해 하원을 장악했다. 앞으로 2년 동안 바이든의 정책들은 제대로 진행될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공화당은 탄핵까지도 가능할 수 있을 것 같다.

바이든을 겨냥한 매카시 대표

미국 국회 하원에서 민주당의 패배로 낸시 펠로시(Nancy Pelosi)는 물러나고 대신 차기 의장은 코커스에서 지명된 캘리포니아 공화당의 매카시(McCarthy) 대표가 맡는다. 그는 워싱턴에서 민주당의 일당 통치의 시대가 끝났다는 취지로 지지자들을 결집시키고 있다. 강력한 야당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상원을 장악했기 때문에 대통령은 아직 ​​판사직과 정치적으로 임명된 직책을 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강경 보수파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화당 하원은 바이든 행정부를 여러 방면으로 공격할 것이다.

 

야후 프론트

바이든 아들을 공격하는 공화당 

트럼프 대통령 제임 시절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을 하원에서 흔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세금 환급 조사, 트럼프 사업 거래에 대한 조사를 국회 차원에서 시작했다. 그 복수를 위해 공화당은 칼을 갈고 있다. Biden 프로그램과 Biden의 아들 Hunter Biden의 금융 거래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하원 감독위원회의 공화당 최고 당원인 제임스 코머 하원의원은 상공회의소를 타겟으로 강력한 조사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머 의원은 Hunter Biden의 금융 거래 및 세법 준수를 탈탈 털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원들은 Hunter Biden이 중국과 우크라이나에서 사업을 하면서 아버지 대통령에 관한 사항과 국가 안보에 관한 타협을 했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북한과 교역하는 사람을 종북 좌파로 의심하고 보는 것처럼 중국과 우크라이나에서 사업을 한 Biden 대통령의 아들에 대해 미국 안보 위협이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빠져나가기 매우 곤혹 스러울 것으로 보인다. 

탄핵까지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미국 정치가 매우 혼란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이 중간선거에서 패배하지 않은 이유

바이든은 중간선거에서 나름 선전했다. 보통 중간선거에서 현직 대통령이 속한 정당이 상원 하원 모두 패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바이든의 민주당은 상원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선거 한달 전만 해도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상원도 뺏길 것으로 보였다. 대중적 인기가 많은 트럼프가 움직였고, 바이든은 수세에 몰리는 듯 했다. 미국 물가가 많이 올라 서민의 삶이 어렵기 때문에 바이든이 패배할 것으로 보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바이든은 코로나 사태 한복판에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빠르게 예방 접종을 맞는 것을 국민들에게 공개했다. 마스크 착용을 선전했고, 그에 맞춰 코로나 사망자가 급격히 줄게 되었다. 코로나로 인한 불경기를 피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과 자금을 풀어 미국인 누구도 돈이 없어 굶지 않게 만드는 데 정치력을 쏟아 부었다. 보조금이 너무 많아 회사를 그만두고 실업자의 길을 걷는 사람도 많을 정도로 지원금을 나눠 줬다. 

그 결과 미국 경제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살아났다. 세계 물가가 오르는 부작용을 낳았으나, 미국 달라화를 상승시켜 물가 상승분이 상쇄되도록 했다. 실업률은 아직도 3%대에 머물고 있어 사실상 완전 고용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도 어느 정도 잡히고 있어 미국 국민들이 정부를 신뢰하게 만들고 있다. 그 성적표가 중간선거 승리로 돌아왔다. 비록 하원은 공화당에게 뺏겼으나, 상원을 지켰기 때문에 하원에서 대통령을 탄핵해도 상원에서 인용되기는 어렵다.

 

미국 주식은 최소한 많이 떨어질 가능성이 없다

미국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좋다. 중국의 소비가 살아나야 하는 기업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호실적을 기록 중이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이 세 기업의 OS 빼고 돌아가는 컴퓨터, 스마트폰은 없다. 미국 주식이 많이 떨어질 것 같지는 않다. 투자금을 늘리는 것은 나중 일인 것 같고... 최소한 부은 돈은 본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반응형